성경속의 교회는 예수님의 공생애 사역과 십자가의 죽음, 그리고 부활과 승천, 성령강림과 제자들의 복음 전파로 시작된다. 예수님을 둘러싼 모든 사건은 복음서가 증언하고 있고, 성령 강림과 제자들의 복음전파는 사도행전과 사도들의 서신서에 나타나고 있다. 교회는 예수님을 구세주와 주님으로 영접하여 침례를 받은 사람들이 함께 모여 사도들의 가르침을 받아 서로 교제하며 떡을 떼며 기도하고 날마다 마음을 같이하여 성전에 모이기를 힘쓰고 한마음과 한 뜻이 되어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 자기의 재산과 소유를 팔아 각 사람의 필요를 따라 나누어 주고 기쁨과 순전한 마음으로 음식을 먹고 하나님을 찬미 (행 2:42-47) 함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교회는 오래지 않아 종교적, 정치적 박해 아래 놓이게 되었다. 유대주의자들은 교회를 ‘이단’이라고 규정했기 때문에 박해를 가했으며 교회가 황제 숭배를 거절한다고 로마 정부는 그리스도인들을 핍박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들은 유대 전통과 로마 법에 의해 불법적 종교 집단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하지만 그리스도 인들은 유대의 종교 지도자들과 로마의 정치 지도자들에게 굴하지 않고 복음을 전하며 세계 곳곳에 교회를 세워 나갔다. 기독교 박해의 긴 역사가 끝난것은 로마의 황제였던 콘스탄티누스 (Constantinus) 대제에 의해서였다 A.D 313년에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기독교를 로마의 종교중 하나로 공인했다. 그후 A.D 392년에 데오도시우스 (Theodosius) 황제는 기독교를 로마의 국교로 공포했다. 이때로부터 로마 제국 안에서는 니케아신조에 입각한 기독교만이 국교가 되고 다른 모든 종교를 믿는 사람들은 극형에 쳐해졌다. 로마 카톨릭 교회의 교황제도는 A.D 594년 로마 교회의 감독인 그레고리 1세 (Gregory I)때 시작되었는데 이때부터 정치와 종교가 밀착되었다. 로마 교회 감독이 교황이 되어 세속 권력까지 지배한 것은 A.D 800년경 찰스대제 (Charlemagne) 때였다. 로마 카톨릭 교회는 개인의 신앙고백과는 상관없이 유아세레를 주고 유아세레를 받은 어린아이에게 종교세를 받아 그돈으로 교회를 유지했다. 결국 로마 카톨릭교회는 권력을 등에 업고 교회를 발전 시키고 유지하다가 성경적 원리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로마 카톨릭 교회는 부와 명예와 권력을 한몸에 지닌채 감독, 대감독, 주교, 대주교등의 성직 계급을 구체화 하면서 교권 투쟁에 몰입했다. 그리고 각 지방의 문화와 풍속을 받아들여 신앙의 미신화를 가져오고 마리아 숭배와 성자숭배, 천사와 화상 숭배등을 합법화 함으로써 교회는 세속화 되었고 로마 교구의 대감독과 콘스탄티노플 교구의 대감독간의 교권 싸움으로 1054년에 이르러 동서교회로 분열하고 말았다. 로마교회는 분열후에도 회개하거나 바른 신앙을 회복하려는 노력은 조금도 기울이지 않고 오히려 십자군 전쟁을 일으키고 황제의 권력과 우위다툼을 벌렸다. 이때의 기독교는 복음으로 백성을 구하는 것보다 종교의 이름으로 백성을 억압하는 집단으로 보였다. 로마 교황은 하나님의 지상 대리자가 되어 사람의 죄를 사하기도 하고 죽이기도 하는 생사 여탈권을 행사했고 주교들은 성도들의 재산을 감언이설로 갈취해 갔다. 심지어 비 협조자에게는 ‘이단’ 이라는 누명을 씌어 그 재산을 통째로 빼앗기도 했다. 그러다보니 뇌물을 주고 성직자도 되고, 주교도 되고, 대주교도 되고, 교황이 되어 교회를 통치했다. 1517년 루터가 교회 개혁의 횃불을 들자 독일과 스위스와 프랑스에서 수많은 성직자와 지성인들이 개혁파에 합류했다. 그들은 역사속의 교회가 갖고 있던 잘못된 유산들을 버리고 성경속의 교회로 돌아가기 위한 운동을 시작했다. 성경을 연구한 사람들은 성경적 원리에 입각한 믿는 자들에 의한 교회를 세우기 위해 종교개혁 운동에 참여했다. 15세기에 일어난 종교개혁 운동은 성경적 교회를 세우기위한 운동이었다. 종교개혁을 부르짖는 사람들 가운데 믿는 자의 침례를 주장하며 유아세례를 거부한 사람들이 재 침례(Anbaptist)들이다. 당시만 해도 교회가 믿는 자들에게 침례를 주는 것은 상상도 못할 일 이었다. 유아세례를 주고 그들이 내는 종교세에 의해 교회가 유지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재 침례파중에 맨 처음 침례를 준 사람은 콘라드 그레벨 (Conrad Grebel)이다. 콘라드 그레벨은 불안과 압박이 교차하는 가운데 1525년 1월 21일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께 무릅을 꿇고 간절히 기도한 후 그를 따르는 사람중에 한 사람이었던 게오르게 블라우로크 (George Blaurock)에게 침례를 베풀었다. 그리고 게오르게 블라우로크도 그곳에 있던 다른 사람들에게 침례를 베풀었다. 그러자 침례를 받은 사람들이 세상과 구별된 삶을 살고, 복음을 가르치며, 믿음을 지키는 그리스도의 참된 제자임을 몸소 서약하였다. ([재침례 교도의 역사] -요단 출판사 P34-35) 이들은 인간은 누구나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만 구원을 얻을수 있다고 외쳤다. 성경 외에는 교회의 그 어떤 권위도, 어떤 사람도 인간과 하나님 사이에 중보자가 될수 없다고 외쳤다. 특별히 재 침례파중 한사람인 빌헬름 로이블린 (Bilhelm Reublin)은 유아세례를 강력히 거부하며 유아세례가 비 성경적임을 맨처음 설교했다. 팰릭스 만츠(Felix Manz)는 유아세례를 지지하는 사람들에 의해 수장을 당하였다. 만츠는 수장을 당하면서도 “하나님의 말씀과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의하면 신자의 침례만이 참된 침례”라고 선언했다. ([재침례 교도의 역사]-요단 출판사 P66-67) 그후 그레벨에게 침례를 받은 게오르게 블라우로크는 티롤(Tyrol)에서 화형을 당했는데 그 이유는 ‘그가 교황이 내린 사제직을 버렸고, 유아세례를 거절 하였으며, 사람들에게 새로운 침례를 설교하였기 때문이고 .... 그리스도와 모친 마리아에 대한 경배와 기도를 거부하였기 때문’ 이었다. 유아침례를 반대한 발타자르 휘브마이에르 (Balthasar Hubmaier)도 쯔빙글리에게 혹독한 미움을 받다가 결국 1528년 비엔나에서 화형을 당하였다. 당시 휘브마이에르가 주장한 것은 ‘침례는 반드시 주님의 말씀을 듣고, 회개하고, 그에 대한 믿음의 고백이 선행되어야 하며, 회심자는 자신의 믿음과 뜻을 공적으로 고백하는 수단으로 물 침례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후 한스 후트 (Hans Hut), 셀베투스 (Servetus) 같은 사람들도 화형을 당했다. ([침례교의 유래] -생명의 말씀사 P14) 정치와 결탁하여 세속화 된 교회를 거부하며 성경적 교회를 세우기 위해 믿는 자의 침례를 주장하다가 수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등지고 나그네처럼 살다가 결국 순교를 당했다. 이들이 침례교회의 이상을 주장한 믿음의 선배들이 되었고 신앙의 뿌리가 되었다. |